
안녕하세요.
진심을 다해 정성들여
진료하는 정성치과 입니다.
치아 건강은 전신 건강과도 직결되어 있으며,
그 중에서 근관치료는 치아를 보존하는데 중요한 치료입니다.
오늘은 근관치료의 정의, 과정, 치료 중단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,
치료 후 관리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려고 합니다.
『 치아 근관치료란? 』
▶ 흔히 '신경치료' 라고 부르는 것이 근관치료입니다.
- 세균에 감염되어 염증이 생긴 치수 조직을 제거 후, 세균이 다시 침투하지 못하도록
빈 공간을 치과용 충전물로 막는 치료입니다.
📌 치아 내부의 신경과 혈관이 있는 공간인 치수를 치료하는 과정입니다.
치아에 심한 충치 또는 외상이 발생하면 치수에 염증이나 감염이 생길 수 있는데
이 상태를 방치하게 되면 통증은 물론 치아를 잃을 수도 있습니다.
그래서, 근관치료를 통해 치아를 보존할 수 있습니다.
『 근관치료의 과정 』
1. 충치 제거 및 치아에 구멍 내기
- 먼저 손상된 부분이나 충치를 제거 후 치수에 접근하기 위해 치아에 작은 구멍을 만듭니다.
2. 치수 조직 제거 및 근관 소독
- 특수한 도구를 사용하여 감염된 치수 조직을 제거하고, 근관내부를 철저하게 소독합니다.
3. 근관 충전
- 소독한 근관을 생체 친화적인 재료로 채워 밀봉하여 세균이 다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합니다.
4. 보철물(크라운) 장착
- 치아의 기능과 구조를 회복하기 위해 보철물인 크라운을 씌웁니다.
『 근관 치료 도중 중단 시 발생하는 문제점 』
- 근관 치료를 도중에 중단하거나 임시충전재 상태로 오랜 기간 방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📌 재감염의 위험
- 임시충전재는 완전한 밀폐가 아니므로 세균이 다시 침투하여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
📌 치아 약화 및 파절
- 치료가 완료되지 않은 치아는 구조적으로 약해져 작은 충격에도 부러질 수 있습니다.
📌 치료의 복잡성 증가
- 재감염이 발생하면 추가적인 치료나 심한 경우 발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『 근관 치료 후 관리 방법 』
📌 정기적인 치과 검진
- 치료 후에도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하여 치아와 잇몸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.
📌 올바른 구강 위생 습관
- 하루 두 번 이상 양치질하고, 치실이나 치간칫솔을 사용하여 구강.
📌 치료의 복잡성 증가
- 재감염이 발생하면 추가적인 치료나 심한 경우 발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🦷 근관치료는 치아를 보존하고 구강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치료입니다. 🦷
치료를 중단하거나 방치하면 더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,
치과 전문의의 지시에 따라 끝까지 치료를 완료하고
적절한 사후 관리를 통해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시기 바랍니다.
출처 : 대한치과의사협회
궁금하신게 있으시다면
언제든 정성치과에 문의해주세요 :)
감사합니다.